Trending topics
#
Bonk Eco continues to show strength amid $USELESS rally
#
Pump.fun to raise $1B token sale, traders speculating on airdrop
#
Boop.Fun leading the way with a new launchpad on Solana.

par_D & Magon
@base ambassodor | @UmbrellaX_dao | Perpdex early investor | Onchain activist
결국 base의 방향성은 정해진 것 같은데
거대 기업의 지원을 받는 누구나 사용하고 이득을 창출할 수 있는 컨슈머 체인(방송, SNS, 결제 etc) 으로의 포커싱을 진행중입니다.
그럴만도 한게 가장 큰 이익을 리테일들에게 돌려주기 위해선 디파이에서 예치나 Lp 자금이 필요한게 아니라 모두가 무에서 유를 창출한다는 느낌을 받게끔 해야 계속 인플로우가 형성될거라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Farcaster, Kaito, abstract, degen 등 처럼요
그러기 위해선 노이즈를 만들 수 있는 인플루언서나 KOL이 필수적이고 제시는 이를 끌어들이기 위해 스트리밍+ 참여형 소셜파이로 단기적 방향성을 완전히 굳힌 모양입니다.
결국 생태계가 살아나면 base의 플랫폼 코인이 살아나야하는데요, 이 지점에서 저는 @clanker 가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함 최근 @retakedott retake라는 스트리밍 플랫폼이 clanker 기능을 통해 밈코인 발행겸 런칭을 했는데 좋은 퍼포먼스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렇게 하나하나씩 쌓아나가면 탄탄하게 가격을 올릴것 같네요
베이스쪽 체크도 꾸준히 해야할듯?



4.02K
솔라나폰사면 3개월간 데이터도 무료라고? 보자보자 사용감 두고보자 에어드랍 두고보자

toly 🇺🇸Aug 16, 06:28
1) what?!?!
A mobile phone with 3 months of mobile service?!?!
3.59K
현재 가장 중요하게 보고 있어야할 트럼프 401k 크립토 허용 행정명령
미국 기관쪽에서는 401(k)에 트럼프가 암호화폐 포함허용 행정명령을 내린것들이 큰 토픽으로 다뤄지고 있는데, 한국에서는 아직 크게 다뤄지지는 않는 것 같음.
1. 401(k)
1978년 제정된 IRC 섹션 401의 (k)항 "직원 급여에서 세전으로 일정 금액을 적립해, 세금 이연 혜택을 받는 퇴직연금" 조항을 뜻함
-------------------------------------
2. 미국 주요 은퇴자금 제도 종류
Source (
a. 401(k)
민간 기업 직원을 대상으로 하며 59.5세 이전 인출시 벌금 +과세 미국 최대 규모 DC(확정 기여형) 플랜
—» 아직 사모, 크립토에 투자허용이 안됐었음.
규모 : 총 8.7조 달러 = 대략 1경 2000조 원
b. 403(b)
비영리기관, 공립학교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은퇴자금 플랜
—» 크립토 투자허용 x
규모 : 총 1.4조 달러 = 1,932조원
c. IRA (개인 퇴직계좌)
민간 개설 퇴직계좌이므로 허용 범위가 넓고, 대체자산 가능 범위 넓었음.
규모 : 총 16.8조 달러 = 대략 2경 3,100조원
—» 이 중 미국 최대 규모의 DC 플랜인 401(k) 운요사들이 크립토, 사모에 투자를 시작한다면 시장 규모 현재 $12.2T 중 상당액이 유입가능하고 직접적인 영향이 즉시 발효될 가능성 높음.
-------------------------------------
3. 트럼프의 이번 행정명령과 code, law, act 차이점
미국 법 발의 기본 흐름
Bill(법안) 이 의회에서 발의 및 통과되고 대통령에게 이송됨
이송된 Bill은 대통령의 서명을 거쳐 Act(법률)가 됨 이 후 특정 분야의 Act를 모아 Code(법전)에 정리.
이번 트럼프의 401(k) 행정명령은 Genius Act처럼 법률이 아니고 행정명령(EO)임. 의회의 동의 없이 행정부에 지시하는 실행 규칙이고 이미 존재하는 법률(ERISA)에 해석/ 집행 방향을 바꾸도록 지시하는 것
—» code/law를 바꾸진 않지만 규제기관이 즉시 규칙을 완화하거나 방향성을 돌릴 수 있음.
----------------------------------------
4. 그래서 어떻게 될거 같은데
- 연기금은 보험의 성격을 띄고 있음.
-누구나 가입해야하고, 금융상품에서 가장 큰 볼륨을 차지하는 것이 보험이고 자국의 국민을 보호해야하기에 인플레이션보다 높은 수익률을 추구해야함.
- 미국 최대 보험 자산 중 한개가 크립토에 들어오게 된다면, 자연스레 Blackrock(AUM$ 1조), KKR(AUM$ 553악), Apollo(AUM$ 4810억), Carlyle Group(AUM$ 4260억), Blackstone(AUM$1560억) 등의 사모펀드들이 들어올 수 밖에 없음. 그리고 선택된 자산을 인플레이션 상승률보다 높은 폭으로 맞추기 시작할것임.
- 크립토 자산 펀드를 구축할때 기관들이 큰돈으로 노릴 수 있는 전략중 트레저리전략(BTC,ETH,SOL,BNB) 이를 이용한 벨리데이팅 헷징 및 인프라 전략을 추구할 가능성이 높음
- 초반에는 크립토에 엄청난 기관 자금이 수혈되겠지만, 개인입장에서는 이들의 운전을 따라가는 방향으로 수렴할듯.
-머피님이 올려주신 복리를 따라가는 시장으로의 발전 ( 진행될 예정
-기관은 레버리지를 땡겨서 단기적으로 몇배의 수익을 바라는것이 아닌 1조로 몇년동안 1000억을 버는 방향을 추구함
서서히 기관이 진입하며 비트 고점은 남아있는것 같음. 다만 25%을 이미 기관이 들고 있는 것처럼 이전처럼 급격한 사이클은 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질듯 still early



11.9K
Top
Ranking
Favorites
Trending onchain
Trending on X
Recent top fundings
Most notable